PHP include vs require

ITWeb/개발일반 2007. 8. 22. 14:44

include

  • include_path 를 먼저 찾는다
  • a.php 내부에 b.php 가 include 되어 있으면 b.php 를 먼저 찾는다.
  • include 실패시 warning 을 내고 script 는 진행이 되지만 require 는 fatal error 를 내고 정지 한다.
  • include 는 변수 scope 을 그대로 유지 한다.
  • function, class, defined 는 global scope 을 갖는다.
include() The include() statement includes and evaluates the specified file.

The documentation below also applies to require(). The two constructs are identical in every way except how they handle failure. They both produce a Warning, but require() results in a Fatal Error. In other words, use require() if you want a missing file to halt processing of the page. include() does not behave this way, the script will continue regardless. Be sure to have an appropriate include_path setting as well. Be warned that parse error in included file doesn't cause processing halting in PHP versions prior to PHP 4.3.5. Since this version, it does.

Files for including are first looked for in each include_path entry relative to the current working directory, and then in the directory of current script. E.g. if your include_path is libraries, current working directory is /www/, you included include/a.php and there is include "b.php" in that file, b.php is first looked in /www/libraries/ and then in /www/include/. If filename begins with ./ or ../, it is looked only in the current working directory.

When a file is included, the code it contains inherits the variable scope of the line on which the include occurs. Any variables available at that line in the calling file will be available within the called file, from that point forward. However, all functions and classes defined in the included file have the global scope.

require

  • 실행중인 processing 을 중지 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 상속을 사용하지 않을 때 사용한다.
  • looping 구조에 어떠한 행동도 하지 않는다.
    • loop 안에서 한번만 발생된다.

require() and include() are identical in every way except how they handle failure. They both produce a Warning, but require() results in a Fatal Error. In other words, don't hesitate to use require() if you want a missing file to halt processing of the page. include() does not behave this way, the script will continue regardless. Be sure to have an appropriate include_path setting as well.

require() will always attempt to read the target file, even if the line it's on never executes. The conditional statement won't affect require(). However, if the line on which the require() occurs is not executed, neither will any of the code in the target file be executed. Similarly, looping structures do not affect the behaviour of require(). Although the code contained in the target file is still subject to the loop, the require() itself happens only once.

require_once

  • 이미 include 되어 있다면 다시 include 하지 않는다.
  • require 와 비슷하다.

include_once

  • 이미 include 되어 있다면 다시 include 하지 않는다.
  • include 와 비슷하다.


reference : http://au.php.net/manual/en/function.include.php

:

[낙산사]20040612 낙산사 여행

Legacy 2007. 8. 16. 14:12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낙산사를 올라 가시다 보면.. 바닷가쪽 으로 암자 있는데 길에 있는 약수 입니다.
목마를때 마셔 주는 센스!! (세수는 하지 마세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 대웅전 있는 쪽으로 올라가는 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올라 가다 돌담이 이뻐 보여서 한장.
허나 눈에 보이는 것 보다 이쁘게 안나와서.. 자책중..ㅡㅡ^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웅전 인가.. 거기 문에 새겨진 문양이 예뻐서 이것도 한장.. (사진 회전을 못시켰내요..ㅡㅡ^)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공원 매표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건 매표소에서 구매한 입장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작년인가 낙산사를 한번 더 갔었는데요. 불나고 나서 다시 짓고는 있는데 문화 유산이 다 타버렸다는데 맘이 아프더라구요. 작년에는 낙산사에서 점심때 국수를 나눠 주고 있어서 먹고 왔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요기가 절 마루에 구멍나서 절벽 아래를 볼수 있는 암자 입니다.. 이름은 잘 모른다는거..ㅡㅡ^

사용자 삽입 이미지

늘 절에 가면 제가 찍어 보는 구도 인데요.. 이상하게 저는 이쁘게 잘 안나오내요..ㅡㅡ^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름 왕초보가 실루엣 효과를 내면서 뒷배경에 in-focus 로 찍어 본거 임돠.(언제쯤 초보 탈출을 할 수 있을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놀러 오신 어머니와 꼬마 아들 물 시원 함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무도 없을때 한컷 ^^* 저 새가 봉황 인가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까 그 아이는 아닌데 물 정말 시원하게 마시더군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돌담길은 이쁜데 참.. 사진은.. ㅡㅡ^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요기가 대웅전 맞을 거예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건 아시죠.. 낙산사에 가면 꼭 봐야 하는 보살상.. 과거 수학여행때가 생각 나내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역시 사진을 회전도 시키지 않고 그냥 올린 무지막지 센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원 하겠죠.. 근데 사실 동해 바다라 역시 물은 차다는거 그때가 6월 중순 인데도 역시 물은 찹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주문진 시장에 가서 회 한접시 먹으러 가서 직은.. 항구 사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참 사진 뒤죽 박죽 올렸내요. 아까 그 보살상이 해수관음상 이였군요. 아마도 절벽 아래를 볼수 있는 암자가 홍련암이 아닐런지.. ( 좀 찾아 보고 올릴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성불 하세요..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주차를 아마 여기다 했다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게 바로 강릉에서 유명한 오징어회?ㅋ 사실 이건 서비스.. ^^;


강릉에서 군 생활을 해었는데 여전히 그곳은 시원한 곳으로 기억 되내요.. ^^*
조개 잡던 생각도 나고요.. ㅎㅎ

만약 식사나 회를 드신 다면.. 대포항 보다는 주문진 항으로 가셔서 드세요.
대포항은 관광객이 너무 많이 와서 이제 가격도 별로 매리트가 없답니다.
주문진 강추.

낙산사 홈페이지 : http://www.naksansa.or.kr/frame.htm?s_url=
낙산사 오시는 길 : http://www.naksansa.or.kr/home.php?go=naksan07

:

openID vs i-PIN

ITWeb/스크랩 2007. 7. 16. 15:04

 
vs




i-pin : http://www.kisa.or.kr/kisa/ipin/jsp/ipin.jsp
openid : http://www.openid.co.kr/, http://www.openid.or.kr/, http://www.myid.net/


이 두가지를 보면 근본적인 목적은 동일 하다고 해야 할것 같다.
웹에서 사용자에 대한 identify 를 부여 한다.

우리에게 주민번호는 매우 중요한 개인 정보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정보가 웹상에 노출되게 되면 악용될 소지가 다분이 많습니다.
(우리 나라가 사기치지 쉬운 나라도 아닌데 의외로 별의별 사기 사건이 많죠...ㅡㅡ^)

한 동안 OpenID 가 왕성하게 이 서비스, 저 서비스에 적용되어 나오고 있었는데 이제 i-PIN 이라는게 나왔으니 판도가 어떻게 변할지 궁금 하내요. (현재도 OpenID 는 활성화 되고 있죠.. ^^*)

한국의 IT 특성상 아마도 모든 포털과 쇼핑몰 들이 i-PIN 으로 인증 방법을 바꾸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미 네이버, 다음, MS 에서 바꾸겠다고 했으니 역시 그 이외의 서비스 업체들은 순차적으로 변경되지 않을까요?
또 i-PIN 은 정부에서 밀고 있으니 개겨서 좋을게 있을지 잘 모르겠내요..ㅡㅡ^

아마 전세계적으로 정부에서 이렇게 획일적으로 통합해 버리는 경우가 또 있을지 궁금 합니다.
제 짧은 지식으로는 알수가 없내요.
기술의 발전과 공유 인지 아니면 정책의 획일성으로 인한 기술의 통합인지..

그냥 깊게 고민해보지 않고 작성해 본 글입니다.
뭐 이 서비스가 나쁘다거나 그런 의견은 아닙니다.
개인 정보는 어떻게 해서든 보호 되어져야 하니까요.
:

웹앱스콘, 한국 웹 생태계를 위하여

ITWeb/스크랩 2007. 5. 28. 08:53

웹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개발 경험에 대한 자발 적인 웹 기술 공유(?) 발표하는 행사가 있내요.
학생 여러분은 꼭 기술 발표를 하지 않더라도 자원 봉사단으로 신청해서 참관해 보는 것도 좋을것 같다는 생각 입니다.
근데 이거 접수 마감 기간이 촉박해서 미리 준비 하고 있던 사람이 아니면 쉽지 않겠내요.

2007년은 저도 꼭 뭔가 준비해서 공유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해보겠습니다.
(작은 거라도 기술의 공유는 업계 발전을 위해서 꼭 필요하다고 생각 합니다.)

http://blog.webappscon.com/

본 행사는 최근 많이 이루어 지는 barcamp 라던가 mashup 경진 대회라던가.. 등등 비슷한 특성이 있는것 같기도 하내요.

준비 열심히 하신 분들은 좋은 결과 있길 바랍니다..

:

Daum DevNight 2007 vs Barcamp Seoul 2

ITWeb/스크랩 2007. 5. 21. 12:29
다음 DNA 에 올라 왔내요.
http://dna.daum.net/archives/201


근데 바로 담날 barcamp seoul 2 가 열리는데 하루 전날 이런 행사를 하는건 왜 일까요??
뭐.. 자기 하고 싶은데로 하는거야 상관은 없겠지만서도 최소한 이런류의 행사에 관심 많은 개발자나 대학생들을 위한다면 조금은 배려를 해줘야 하는게 아닌가 싶내요.

ref. barcamp seoul 2 관련글
http://kimnjeong.tistory.com/34
http://barcamp.org/BarCampSeoul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