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팀워크북

Legacy 2007. 11. 22. 16:54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근에 읽고 있는 책이랍니다.
그냥 가볍게 읽어 볼려고 샀는데요.
가볍게 읽을 수 있기는 하더라구요.

아래 목차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명확 합니다.
이 책에서 전달 하고자 하는것은...

사명감, 커뮤니케이션, 협동, 갈등 해결, 변화 대처, 네트웍 구축, 기여도

팀장이 알아야 하는 것들도 있고 팀원이 알아야 하는 것들도 있습니다.

사실 다 같이 알아야 하겠죠..

그냥 가벼운 마음으로 티웍을 좋게 할려면 어떻게 해야 하지라는 고민을 하시는 분이라면 한번쯤 읽어 보세요.

넘 큰 기대는 하지 마시구요.. ^^*

갠적으루 팀웍은 팀장과 팀원이 잘 조화를 이루면 되는게 아닌가 싶구요. 팀원이 팀장을 따르지 않거나 못한다면 팀웍은 좋아 질 수 없을 거라 생각 하구요. (좋은 팀장이 됩시다.)



전략1. 나와 팀은 하나다 _ 사명감 Commitment
공통된 목표와 가치관
강한 팀에는 사명감 높은 팀원이 있다
사명감을 높이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것
사명감을 높이기 위해 팀에서 할 수 있는 것
요약

전략2. 커뮤니케이션은 기본이다 _ 커뮤니케이션 Communication
대화의 기술이 왜 필요한가?
강한 팀은 커뮤니케이션이 잘된다
커뮤니케이션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것
커뮤니케이션을 향상시키기 위해 팀에서 할 수 있는 것
요약

전략3. 우리 모두가 영웅이다 _ 협동 Cooperation
협동이 없으면 팀워크도 없다
강한 팀은 협동이 잘된다
협동을 잘하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것
협동을 잘하기 위해 팀에서 할 수 있는 것
요약

전략4. 독불장군에겐 미래가 없다 _ 갈등 해결 Conflict Management
팀 내에서의 갈등은 당연하다
강한 팀은 갈등 해결에 힘쓴다
갈등 해결을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것
갈등 해결을 위해 팀에서 할 수 있는 것
요약

전략5. 영원한 것은 없다 _ 변화 대처 Change Management
왜 변해야만 하는가?
강한 팀은 변화에 잘 대처한다
변화에 잘 대처하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것
변화에 잘 대처하기 위해 팀에서 할 수 있는 것
요약

전략6. 나무보다는 숲을 봐야 한다 _ 네트워크 구축 Connections
‘나 홀로’ 업무는 없다
강한 팀은 네트워크 구축에 힘쓴다
네트워크 구축을 잘하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것
네트워크 구축을 잘하기 위해 팀에서 할 수 있는 것
요약

전략7. 나의 기여가 팀을 살린다 _ 기여도 Contribution
팀의 기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요소
강한 팀의 팀원들은 기여도가 높다
기여도를 높이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것
기여도를 높이기 위해 팀에서 할 수 있는 것
요약

:

M.net KM Music Festival 2007 을 보다.

Legacy 2007. 11. 20. 17:26
M.net KM Music Festival 2007 을 보다.

지난 11월 17일 오후에 MKMF 시상식을 보려 갔었습니다.
나름 VIP 초대권이라서 좌석도 기대를 했었으나.. 흑.. OTL;;;
이럴수가 VIP 초대권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엄청 많더군요..
뭐.. 그래도 무대는 잘 보이겠지 하는 기대 심리는 버리지 않았습니다..
헉.. 그 기대가 몇분도 지나지 않아 와장창 무너졌습니다.
정확히 무대는 360 도 어디에서건 다 볼수가 있었으나 제 자리는.. 쉽게 얘기해서 무대 뒷좌석..OTL;;;
또 한번의 좌절을 해야 했습니다.

제 사진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정말 신나게 가수들 뒷태만 보고 왔습니다.. ㅡㅜ^
뒷태 보러 간거 아닌데.. 흑..

- flickr 에서 사진 보기
http://www.flickr.com/photos/26089147@N00/sets/72157603244648675/

IMG_0668IMG_0667IMG_0666이다해 1부 의상IMG_0663IMG_0662IMG_0660IMG_0658IMG_0656IMG_0654IMG_0679IMG_0678원더걸스원더걸스원더걸스원더걸스원더걸스소녀시대소녀시대IMG_0669하하, 장윤주솔비IMG_0690IMG_0689IMG_0687IMG_0685IMG_0683원더걸스원더걸스원더걸스에픽하이,SG워너비,서인영,클래지콰이에픽하이,SG워너비,서인영,클래지콰이IMG_0705IMG_0704IMG_0703IMG_0702IMG_0700IMG_0699IMG_0698IMG_0696IMG_0718IMG_0717IMG_0716IMG_0715IMG_0714빅뱅빅뱅IMG_0711IMG_0709IMG_0708IMG_0729IMG_0728IMG_0727IMG_0726이다해IMG_0724IMG_0722IMG_0721IMG_0720DJ DOC박진영IMG_0741IMG_0739IMG_0738박진영IMG_0734IMG_0733이다해 2부 의상IMG_0731IMG_0730IMG_0761슈퍼주니어IMG_0756IMG_0754IMG_0753IMG_0751소녀시대IMG_0749원더걸스원더걸스각트 뒷태각트 뒷태IMG_0769IMG_0768IMG_0767이다해 3부 의상천상지희 더 그레이스IMG_0763

사진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뒷자리라서 앞에서 비치는 조명들 반사되는 빛들.. 어흑.. 사진을 잘 찍을 래야 찍을수 없는 상황이였답니다.. (사실 내공도 많이 부족 하답니다..ㅡㅡ^)

이 날 이다해의 퍼포먼스는 저는 괜찮았구요.
사실 원더걸스의 텔미를 보러 갔었으나.. 텔미는 없더군요..
MKMF 2007 은 빅뱅과 슈주의 거의 독무대라고 해도 거의 과언은 아니더라구요..

객석에서는 동방신기를 엄청 찾는 팬들이 많았는데 동방신기의 영상 편지 같은 것도 없더군요..
암튼.. 가수들의 뒷태 정말 잘 보았습니다..ㅡㅡ^
사실 평은 별로 하고 싶지 않았으나 이번 행사는 너무 아이돌 스타를 중심으로만 구성한게 아닌가 싶습니다.
평가 기준에 대해서도 역시 가수들 사이에서 말이 좀 있었던 걸로 알고 있습니다.
뭐 저야 그냥 보는 것 만으로도 좋기는 하지만 이 행사가 정말 가수들을 위한 큰 행사라면 좀 더 폭 넓게 진행이 되어야 하지 않나 싶기도 합니다.
10대들을 위한 뮤직 페스티발 이라면 앞으로는 타이틀에 "10대들을 위한 MKMF 200?" 라고 하는게 어떨까요??
케이블 방송의 한계라고 치부 하기에는 그 파급 효과나 영향력이 작지 않다고 생각 됩니다.
앞으로 좀더 나은 음악 행사를 만들어 주실거라 믿고.. 이만.. 정리 하겠습니다.. ^^;
:

[스크랩]개발자는 공부와 변화를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ITWeb/스크랩 2007. 11. 20. 16:09
ref. http://itviewpoint.com/tt/index.php?pl=3589
ref. http://www.zdnet.co.kr/news/enterprise/etc/0,39031164,39163435,00.htm

아래 글 중에서 김명호 박사님의 keynote 부분은 개발자라고 생각 하고 계신 분들 이라면 꼭 새겨 두면 좋을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최근 제 주변의 몇몇 개발자로 일 하시는 분들을 보면 모르는게 있으면 찾아 보거나 공부를 하려 하지 않고 모르쇠와 떠넘기기 식으로 일관 하고 새로운것을 접하는데도 상당히 부정적으로 반응을 보이는데 제가 뭐라고 할 부분은 아니지만 개발자의 길을 계속 걷고 싶다면 한번쯤 고민을 해 보시라고 이야기 하고 싶어 지내요.

 
김명호 박사

‘마이크로소프트 데브데이 2007’이 20일 서울 건국대 새천년 기념관에서 열렸습니다. 이날 행사는 너무나 아쉽게도 취재를 가지 못했습니다. 일이 많아 시간이 나질 않네요.^^

대신 MS에서 김명호 박사님의 기조연설을 정리한 멋진 요약문을 보내 왔습니다.

이 글에서 김박사님은 “개발자가 오래 개발을 한다고 저절로 레벨이 올라가거나 아키텍트로 성장하는 것은 아니다”며 “개발자는 공부와 변화를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건 정말 저만 알고 있었다면 더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기본기가 꽉 찬 문장이네요. 개발자 뿐만 아니라 모든 분야의 분들에게 해당될 것 같습니다. 제가 지금까지 숨쉬고 있는 방식을 가장 명확하게 설명해 주고 있으세요.^^

김박사님은 일전에 ODF 논란과 관련 언급이 됐던 분이죠. 그 분의 주장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점을 떠나, 상당히 논리적이고 열정적인 강연에 인상이 깊었던 것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 강추 동영상 : http://itviewpoint.com/tt/index.php?pl=2775

이에 앞서 진행된 인사말에서 박남희 한국MS 상무는 “소프트웨어의 산업 경쟁력, 많은 나라가 소프트웨어를 국가 경쟁력의 중심에 놓고자 하는, 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에 대해서는 반대할 사람이 없을 것”이라며 “빌게이츠 회장을 비롯하여 한 사람의 힘이 세상을 바꾸는 일이 실현되는 분야가 소프트웨어 분야”라고 격려했습니다.

행사장 전경

아래는 관련 자료입니다. 지방 행사도 잘 마무리 하시길 기대합니다.^^

김명호 박사 Key note

- 10년 후라는 주제, 지난 몇 년간 인기리 판매된 책 제목에서 빌려온 10년 후를 주제로 앞날을 고민하는 개발자들에게 필요한 조언을 드리고 싶다.

- 개발자가 오래 개발을 한다고 저절로 레벨이 올라가거나 아키텍트로 성장하는 것은 아니다. (건설 현장에 오래 있으면 미장이나 작업 반장을 할 수는 있어도 저절로 건축설계사가 되는 것은 아닌 것과 마찬가지

- 개발자는 공부와 변화를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 기본기를 길러라 - 기본과 초급은 다르다. 기본기를 튼튼히 기르기 위한 기초 공부를 할 수 있는 서적을 읽고 공부하라

- 지식의 포트폴리오를 유지하라

- 한 가지 분야에만 올인하지 말고 재테크에서처럼 분산 투자하라

- 분야 전문가가 되던지, 폭넓은 분야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이해를 갖춰라

- 새로운 기술의 출현을 두려워하지 말고 보다 훌륭한 개발자, 행복한 개발자가 되도록 노력해달라.

박남희 상무

박남희 상무 인사말

- 데브데이와 같은 대규모 개발자 행사를 진행한지 올 해로 10년

- 마이크로소프트는 지난 10년 간 이와 같은 대규모 컨퍼런스 뿐만 아니라 직장인 개발자들을 위한 토요일 및 야간 세미나, MSDN이라는 대형 개발자 포털에 이르기까지 개발자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을 해 온 기업이라고 자부한다.

- 이공계 기피 현상을 비롯, 개발자에 대한 부정적이고 냉소적인 견해를 담은 선배 개발자의 블로그 글들이 회자되면서 반향을 일으키는 등, 개발자의 경력 가치에 대한 평가가 하락하고 있는 추세는 사실.

- 그러나 소프트웨어의 산업 경쟁력, 많은 나라가 소프트웨어를 국가 경쟁력의 중심에 놓고자 하는, 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에 대해서는 반대할 사람이 없을 것이다.

- 빌게이츠 회장을 비롯하여 한 사람의 힘이 세상을 바꾸는 일이 실현되는 분야가 소프트웨어 분야이다.

- 오늘 주제 선정을 놓고 많은 생각을 한 결과 ‘행복한 개발자’라는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긍정적인 마인드를 갖춘 사람이 부정적인 사람보다 성공할 확률이 훨씬 더 높다고 한다. 긍정적인 마인드로, 행복한 개발자가 되고자 하는 사람이 변화하는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성공하는 사람이 될 것이라고 믿는다.

- 마이크로소프트는 오늘 행사에서 개발자의 직업 비전과 기술 경쟁력에 대한 세션들을 준비했으며, 앞으로도 개발자 여러분과 함께 할 것이다.

------------------

[보도자료]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의
비전과 실무지식을 공유하는 소통의 장(場)
‘마이크로소프트 데브데이 2007’ 개최


2007년 10월 20일 (서울) 글로벌 IT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이매진 컵’ 개최 등 국내 소프트웨어산업 부흥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한국마이크로소프트가 이번에는 전국의 현업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을 응원하기 위해 나선다.

한국마이크로소프트(www.microsoft.com/korea, 사장 유재성)는 오는 20일, 서울 건국대 새천년 기념관을 시작으로 22일 부산, 23일 대전에서 국내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에게 앞선 기술과 다양한 정보교류의 기회를 제공하는 대규모 기술 컨퍼런스인 '마이크로소프트 데브데이 2007(Microsoft Dev Days 2007 Korea)'을 개최한다. <중략>

‘마이크로소프트 데브데이 2007’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 확인과 개발자들의 참가 신청은 해당 웹사이트(http://www.microsoft.com/korea/msdn/devdays2007)를 통해 할 수 있다. <후략>

사진 = 한국MS 제공

:

Open Source Symposium 2007

ITWeb/스크랩 2007. 11. 16. 10:10
ref. http://www.key-on.co.kr/redhat/oss_overview.htm

이 행사가 매년 있었던 행사 인지는 잘 모르겠내요.
웹서핑 하다가 발견해서 공유해 봅니다.





더불어 mashup 경진대회가 있어 추가로 업데이트 합니다.

이건 일반인 대상이니까..
http://mashupkorea.org/
네이버
, 다음이 주최고 야후는 협찬사 이지만 야후가 open API 가 없어서 못하고 있는건 아니구요..
흑..ㅡㅜ^
본사 yahoo.com 에는 벌써 부터 있었구요. 한국에서는 따로 준비 중에 있습니다.
본사 yahoo 의 YDN(http://developer.yahoo.com/) 을 참고 하시면 좋은 정보 많으니 매쉬업 참여시 참고 하심 좋을것 같내요.
구글이나 아마존등에도 좋은 API 들이 많으니 그것들도 참고 하셔요..
(http://code.google.com/, http://www.amazon.com/AWS-home-page-Money/b/ref=gw_br_websvcs?ie=UTF8&node=3435361&pf_rd_p=330332001&pf_rd_s=left-nav-3&pf_rd_t=101&pf_rd_i=507846&pf_rd_m=ATVPDKIKX0DER&pf_rd_r=1RXHEWZ4DMRSQBR2CDNG)

http://www.programmableweb.com <- 여기 가면 다양한 mashup app 와 api provider 들이 나와 있으니 참고 하세요

:

Framework in wikipedia

ITWeb/스크랩 2007. 11. 14. 15:18
ref. http://en.wikipedia.org/wiki/Framework

Framework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A framework is a basic conceptual structure used to solve a complex issue. This very broad definition has allowed the term to be used as a buzzword, especially in a software context.

Contents

[hide]

[edit] Conceptual framework

Main article: Conceptual framework

A conceptual framework is used in research to outline possible courses of action or to present a preferred approach to an idea or thought.

[edit] Software framework

Main article: Software framework

A software framework is a re-usable design for a software system (or subsystem). A software framework may include support programs, code libraries, a scripting language, or other software to help develop and glue together the different components of a software project. Various parts of the framework may be exposed through an API.

[edit] Office Suite

Framework launched in 1984, was the first office suite to run on the PC 8086 with DOS operating system.

[edit] Buzzword

The word framework is used as a buzzword, in a variety of contexts. For example, the Java collections framework is not a software framework, but a libra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