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ell Script] bash script background run
ITWeb/개발일반 2022. 8. 17. 19:21$ bash run.sh 1>/dev/null 2>&1 &
$ bash run.sh >/dev/null 2>&1 & echo $! > run.pid
background 실행 및 pid 활용.
[Shell Script] bash script background runITWeb/개발일반 2022. 8. 17. 19:21
background 실행 및 pid 활용.
[Filebeats] filebeats input filestream 에서 id 설정의 중요성Elastic/Beats 2022. 8. 12. 18:20filebeats input filesstream 에서 id 설정을 하고 사용 하시길 권장 합니다.
코드를 한번 보실 분들은 아래 파일 열어 보시면 됩니다.
filebeat input 에서는 inode marker 를 이용해서 file offset 에 대한 처리 정보를 기록 합니다.
참고문서)
Each filestream input must have a unique ID. Omitting or changing the filestream ID may cause data duplication. Without a unique ID, filestream is unable to correctly track the state of files. [Elastic] Checksum 활용 하기.Elastic 2022. 7. 20. 18:06아마 사용하고 계시는 분들이 있을지 모르겠지만 간혹 Elastic Stack tarball 다운로드 받고 나서 파일이 깨지는 현상을 경험 하실 수 있는데요.
이럴 경우 다운로드 받은 tarball 이 유효 한지 확인 하는 방법을 소개 하려고 합니다. (이미 다 아실 만한 내용입니다.) Elasticsearch 기준으로 설명 하겠습니다.
다운로드 페이지) https://www.elastic.co/kr/downloads/elasticsearch
여기서 tar.gz 과 tar.gz.sha512 두 개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이제 checksum 검증을 하시면 됩니다. (아래는 mac 기준입니다.)
보시는 것 처럼 hash code 값이 같다면 다운로드 받은 tarball 이 유효 하다는 의미 입니다. 이와 같이 Elastic Stack 의 tarball 에 대한 검증 이후 사용 하시면 간혹 segment fault 오류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Elasticsearch] Arirang Plugin on Elasticsearch 8.3.2Elastic/Elasticsearch 2022. 7. 20. 13:47Elasticsearch 8.3.2 + Lucene 9.2.0 에서 변경된 내용을 정리해 봅니다.
Lucene 8.11 to 9.2) pom.xml 내 수정
package 변경
elasticsearch analyzer plugin)
JDK 수정
❖ lucene 에서는 analyzer 패키지 변경이 있었으며, elasticsearch 에서는 NodeClient 에 대한 패키지 변경이 있었습니다. [Elasticsearch] Filter Aggregation 사용하기.Elastic/Elasticsearch 2022. 7. 18. 18:50보통 Query 절에서 문서를 필터링 하고 Aggs 에서 집합/분석 질의를 하게 됩니다. 이 경우 성능적 잇점을 가져 가기 위해서는 보통 아래 두 가지 설정만 잘 사용 하면 됩니다.
1. Query 절은 Non-Scoring 질의를 사용하고 2. Size 파라미터 값을 0 으로 사용하고
그 이외는 기본적으로 Elasticsearch 에서 Cache 기능이 잘 동작 하기 때문에 크게 고민을 하지 않으셔도 어느 정도의 성능은 나온다고 보시면 됩니다.
Bucket Aggregation 중 Query 절에서 Filtering 하는 것과 같은 기능이 있어서 문서 링크와 주의 사항(?) 올려 봅니다.
아래 두 질의는 같은 결과를 리턴 합니다.
Case 1)
Case 2)
여기서 C1, C2 중 어떤게 좀 더 성능적으로 우세 할까요? 공홈 문서에 따르면 Sub Aggregation. 을 가지는 Filter Aggregation 보다는 Top Level Query 를 사용하는게 더 빠르다고 합니다. 그리고 다수의 Filter Aggregation 을 사용 하는 것 보다는 Filters Aggregation 을 사용 하는게 더 빠르다고 하니 참고 해서 사용 하시기 바랍니다.
제가 사용 한다고 하면 Top Level Query 에 Filter Query 나 Non-Scoring Query 를 이용해서 사용 할 것 같습니다.
|